[최소한의 주식 공부 4] 아무것도 안 하는 경험
매일매일 시장 참여자들에게 외치고 싶은 한 문장이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마세요, 제발.”
상당한 과장이 들어간, 그러나 진심을 듬뿍 담은 이야기입니다. 좀 더 건조하게 표현하자면 이렇겠죠.
“당신이 시장에서 무언가를 하는 것보다는 아무것도 안 하는 게 좋은 성과를 올릴 확률이 월등히 높습니다. 물론 정말로 아무것도 안 할 수는 없겠지만, 대체로 무언가를 ‘하지 않는 게 낫다’라고 생각하는 게 안전합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의 투자 환경은 늘상 무언가를 하도록 부추깁니다. 무언가를 해서 좋은 성과를 낼 수도 있겠지만, 아무것도 안 하더라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아니 자주 ‘아무것도 안 하는 경험’을 해보아야만 합니다. 그러나 그런 경험이 필요하다고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오늘은 ‘아무것도 안 하는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해봅시다.
주식의 가장 중요한 속성
앞에서 했던 이야기들부터 복습해봅시다. 주식의 가장 강력한 속성이 무엇이었죠? 네. ‘이익잉여금의 내부 유보를 통한 성장’입니다. 용어가 어려워서 쉽게 떠오르지 않았다면, 이렇게 기억해두셔도 됩니다.
“주식은 알아서 무언가 하는 자산이다.”
주식은 스스로의 의지로 무언가를 해서 자가증식을 하는(혹은 쪼그라드는) 유일한 금융자산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자가증식의 한계는 이론적으로는 없으며, 복리로 성장할 수 있고, (최대 손실은 100%이기 때문에) 손실 대비 이익의 폭이 훨씬 큰 비대칭 자산입니다.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건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죠. 1) 회사가 나에게 돈을 벌어다주는 것과, 2) 다른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받아내는 방법입니다.
흔히들 1)은 배당수익, 2)는 매매차익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배당수익은 1)의 아주 일부분만을 반영할 뿐입니다. 궁극적으로 회사는 언젠가는 모든 재산을 청산하여 주주에게 분배하겠지만, 그 전까지는 그 언젠가 주주에게 배당할 몫을 계속해서 불려나가는 작업을 하는 중입니다.
그 크기가 (보통은) 당장의 배당에 비하면 어마어마하게 크고, 투자자들은 그때그때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그 크기를 평가하기 때문에 주식의 가격은 큰 폭으로 널뜁니다.
1)에 대한 기대감이 2)에 반영되기 때문에 1)과 2)는 근본적으로 같은 겁니다. 그러나 실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어서, 1)에 집중하느냐 2)에 집중하느냐에 따라서 내가 시장을 대하는 방식도 달라집니다.
특정 회사의 투자자 전체로 보았을 때, 투자자 전체가 버는 돈은 회사가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몫을 넘어설 수 없고, 그 몫은 당연히 회사의 순이익에 기반합니다. (현금흐름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회사의 설립부터 청산까지 고려했을 때 순이익과 현금흐름은 동일합니다.)
그렇다면 특정 A 회사의 투자자가 해야 할 판단은 A 회사의 순이익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에 집중되어야겠지요. 이게 1)에 집중한 의사결정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2)를 접목하면 어떻게 될까요. A 회사가 투자자에게 벌어줄 돈이 총 1,000억이라면, 투자자 전체가 가져갈 돈의 총액은 1,000억을 넘지 못합니다.
그런데 투자자들 사이에서 그 1,000억이 어떻게 배분될 것이냐를 따져보면 문제가 상당히 흥미로워집니다.
열 명의 투자자가 지분을 10%씩 가지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모두가 100억씩을 가져갔을 겁니다. (거기서 세금과 수수료를 냈겠죠.)
열 명의 투자자가 지분을 10%씩 가지고 시작한 다음 서로 간에 사고팔기를 무진장 반복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누군가는 1,000억 혹은 그 이상을 벌 수도 있을 겁니다. 다른 투자자는 200억을 벌 수도 있겠지만 100억 미만, 혹은 손실을 볼 수도 있겠죠. 그리고 이 경우 투자자 전체의 이익 합계는 1,000억에 훨씬 못 미칩니다. 세금과 수수료로 빠져나가는 몫이 첫 번째 경우보다 훨씬 많거든요.
주식은 알아서 무언가 하는 흥미로운 자산이고, 알아서 무언가를 잘했을 때 상당히 많은 돈을 투자자에게 벌어줄 수 있는데, 투자자들은 ‘아무것도 안 하고서’ 그 몫을 가져갈 수 있었다가, ‘무언가를 열심히 함으로써’ 그 몫의 상당 부분을 잃어버립니다.
무언가 열심히 하고자 하는 열정 가득한 행위가 이기는 게임을 지는 게임으로 바꾸어버리는 거죠.
복리 게임
위의 예시가 당장은 눈에 들어오지 않을 겁니다. 주가는 매일매일 변하고 매일 새로운 뉴스가 쏟아지고 옆자리의 투자자들이 호들갑을 떨고 있거든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으면 상당히 멍청해 보입니다.
우리가 똑똑해 보이려고 투자를 하는 건 아니잖아요? (물론 그런 사람이 상당수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만.) 똑똑해 보이는 것보다는 돈을 버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신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일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고민해보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