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단상] 주주 환원 없는 기업과 동행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시장의 난무하는 소음 속에서 중심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럴수록 기본에 집중하고 올바른 원칙을 지켜야 하지만 우리가 마주하는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투자 단상’은 현직 펀드매니저가 시의적절한 고민을 함께 나누는 코너입니다. 투자 대가들이 역경을 이겨낸 방법도 소개하고 실패 사례에서 배우는 기회도 마련하겠습니다.  ― 버핏클럽

Getting your Trinity Audio player ready...

요즘 ‘밸류업’이 유행입니다.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 등의 주주환원을 통해 저평가를 모면해보려는 기업들에 붙여진 이름이죠. 일본에 이어 한국 또한 일반 주주들과 정부의 압박으로 ‘밸류업’ 정책을 내놓는 기업이 많아졌습니다.

한국 시장에서 대표적인 ‘밸류업’ 섹터라고 한다면 금융주를 들 수 있을 텐데요. 과거 오랜 관치금융과 성장성의 한계로 말도 안 되게 저평가받아오던 상황에서 ‘밸류업’ 열풍과 함께 주가가 많이 뛰었습니다.

높은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업에 투자된 자본 대비 높은 수준의 이익을 계속 내줘야 합니다. 성장률이 높을 때는 추가 투입되는 자본 대비 이익이 늘어나는 속도가 더 크기 때문에 가치가 더 증가합니다. 그러나 성장이 정체되면 이익 성장보다 자본 증가가 더 커집니다. 흔히 얘기하는 ROE가 내려가는 거죠.

시장에서는 이에 대해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향후 성장이 정체될 것 같으면, 과거 아무리 화려한 기록을 보여줬더라도 주가에 대한 평가가 야박해집니다. 그대로 가면 투하되는 자본 대비 이익의 수준이 계속 낮아질 게 자명하니까요. 때문에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밸류에이션이 낮아집니다. 심지어 성장을 보여주더라도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