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단상] '상법 개정' 없이 한국 자본주의 미래 없다

시장에 난무하는 소음 속에서 중심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럴수록 기본에 집중하고 올바른 원칙을 지켜야 하지만 우리가 마주하는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투자 단상’은 현직 펀드매니저가 시의적절한 고민을 함께 나누는 코너입니다. 투자 대가들이 역경을 이겨낸 방법을 소개하고 실패 사례에서 배우는 기회도 마련하겠습니다.  ― 버핏클럽

Getting your Trinity Audio player ready...

최근 야당이 ‘상법 개정’을 발의하면서 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사실 이사의 충실의무를 총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은 이미 지난 정부에서 발의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본격적인 관심은 최근에야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 국장(한국 주식시장)의 모습이 글로벌 증시와 괴리가 커지고 있는 현 상황도 그런 관심에 한몫한다고 생각합니다.

코스피지수의 10년 이상 장기 수익률은 한국 GDP 성장률과 큰 괴리를 보입니다. 보통 한 나라의 자본시장이 그 나라의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추종한다고 보면, 한국 주식시장은 자본시장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셈입니다.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자본시장은 단지 자본시장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윌리엄 번스타인은 저서 《부의 세계사》에서, 한 국가가 산업화되려면 4가지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강력한 재산권 보호, 과학적 합리주의, 활발한 자본시장, 통신과 운송 인프라가 그것입니다. 이는 단지 ‘산업화’ 자체로만 끝나지 않습니다. 지속적인 혁신이 생산성 향상의 필수 요소라는 측면에서 오늘날에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중 제대로 기능하는 ‘자본시장’을 갖추어야 혁신과 성장에 목마른 인재들이 뜻을 펼칠 ‘자본’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국내 시장 상장을 목표로 했던 기업들이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현상이 이제는 새롭지 않습니다. 시장 저평가가 장기화되다 보니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워졌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해외 시장에 상장하기가 여의치 않으면 아예 상장 자체를 늦추는 기업도 많습니다. 이런 기업들에 투자한 자본의 회수 기간도 함께 늘어나면서 자본이 제대로 돌지 않는 부작용도 커집니다.

이런 척박한 한국 시장에서 대주주와 기타 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킨 M기업의 사례는 유독 의미가 큽니다.

일단 이익의 50%를 환원하면서, 내수기업으로서 낮아질 수밖에 없는 ROE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긍정적으로 바꿨습니다. 그로 인해 주가를 평가하는 멀티플이 개선되었고 주가가 최근 수년간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매 분기 실적 발표에 C레벨 경영진이 직접 나와 경영 성과와 방향성에 대해 직접 소통합니다. 이는 기관과 개인 주주의 정보 격차를 없애고 장기 주주로 주주 구성을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당연히 주가 변동성도 줄어들고 이는 다시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주주를 불러모읍니다.

경영진이 대주주만이 아니라 총주주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면 임직원의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아지는 효과도 커집니다. 내부 직원은 대주주나 경영진이 먹튀 용도로 주가를 활용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환원을 계속할 거라고 믿기 때문에 자사주를 보유하려는 인센티브를 갖게 됩니다. 이는 근로소득 외의 자본소득 확대로 이어지면서 외부의 유능한 인력이 해당 기업으로 모이는 선순환 효과를 가져옵니다. 실리콘밸리에 인재들이 모여들고 혁신이 끊이지 않는 이유와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