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주식 공부 22] 매크로 ① 바텀업 투자자의 세 가지 관점
주식 투자자가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식을 담아 ‘최소한의 주식 공부’를 연재합니다. 주식이라는 자산의 근본적인 실체에서 시작해, 의사결정의 주요 원칙과 피해야 할 함정에 대해 홍진채 라쿤자산운용 대표가 독자 여러분과 함께 고민합니다. ― 버핏클럽
오늘은 매크로(거시경제)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매일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합니다. 생각해보면 그 이전이라고 해서 거시경제에 큰 이벤트가 없었던 건 아닙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Chips Act),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 연준의 금리 인상·인하, 양적완화, 테이퍼링, 영국의 EU 탈퇴 등등 많은 이슈가 있었습니다. 한국만 하더라도 중국과의 갈등 - 한한령, 일본과의 갈등 - 화이트리스트 등재, 계엄령, 탄핵 등 수많은 국내외 이벤트를 겪어왔습니다.
이런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시장은 출렁거리고, 공포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느니, 혹은 글로벌 경제가 불안정하니 안전자산으로 도망가야 한다느니, 오히려 수혜주를 발굴해야 한다느니 등등, 어떤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사람들이 나타납니다. 그런 모습들을 보고 있노라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 내 모습이 일견 게으르고 무책임해 보여 섣불리 행동에 나서게 될 수도 있습니다.
혹은 그런 행동 방식을 경계하면서 이렇게 가르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거시경제, 매크로, 그거 다 노이즈일 뿐이다. 우리는 좋은 기업에 집중해서 기업의 가격이 ‘제 가치’를 반영할 때까지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라는 주장 말이지요. 개별 기업의 움직임에 집중하는 투자를 ‘바텀업(bottom-up)’ 투자라고 하는데, 바텀업 투자자들 중에서 이렇게 거시경제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을 철칙으로 삼는 사람이 많습니다.
사실 이 시장에서는 ‘움직이는 것’보다 ‘움직이지 않는 것’이 도움될 때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후자의 가르침은 많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모든 거시적인 이슈들을 노이즈로만 치부하고 무시하는 게 정답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오죽하면 워런 버핏조차 거시경제의 과도한 움직임에는 간간이 코멘트를 내고는 합니다. 특히 최근의 관세에 대해서도 한 말씀 하셨지요. (버핏은 의외로 매크로에 대한 통찰을 보여줄 때가 적지 않게 있습니다. 과거 글 ‘워런 버핏은 ‘시장 예측의 대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우리가 거시경제를 보아야 하는 이유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탑다운(top-down) 관점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은 거시경제를 보는 게 일상이고, 논의할 필요조차 없는 당연한 이야기겠지요. 오늘의 이야기는 바텀업 투자자들에게 매크로는 어떤 의미인지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바텀업 투자자에게 거시경제를 보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성과 측정
아무리 개별 기업에 집중해서 투자한다 한들, 그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은 거시경제 환경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바텀업 투자자는 기업의 분기 실적을 확인하고 잘했는지 못했는지를 평가하는 일이 필수적입니다.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 하더라도 지금 좋은 기업이 앞으로도 영원히 좋은 기업일 수는 없죠. 내가 매력적으로 느꼈던 모습이 사라지지 않았는지, 예전에는 알아채지 못했던 새로운 단점이 보이는지 등은 늘상 새로이 확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기업의 성과를 측정할 때 거시경제와 관련지어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거시경제 환경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른 채 기업의 실적을 평가한다는 건 어불성설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화장품회사가 이번에 분기 실적이 잘 나왔는데, 그게 단지 미국의 수입 규제가 발효될 것에 대비하여 선주문이 들어갔기 때문이라면 회사가 잘해서 잘한 거라고 볼 수는 없겠죠. 오프라인 테마파크 사업을 하는데 전염병이 창궐하여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면, 그로 인해 실적이 박살났다 해도 이 회사가 대단히 경영을 잘못했다고 판단하는 것 또한 매우 위험하죠.
저평가된 이유 확인
바텀업 기반의 투자자들은 기본적으로 내재가치 대비 싼 주식을 선호합니다. 그런데 내재가치 대비 가격이 싸게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건 굉장히 미묘하고 섬세한 작업입니다. (정교한 계산이 필요하다는 뜻이 아니니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훌륭한 내재가치를 가진 기업은 웬만하면 시장에서 그 훌륭함을 알고 있습니다. 즉 가격이 적정하거나 비싸게 형성되어 있다는 말이지요. 그런 가격에 내가 ‘좋은 회사네’하고 사봤자, 확률적으로 내가 얻을 수익률은 높지 않습니다. ‘좋은 회사와 좋은 주식은 다르다’라는 격언이 여기서 나오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