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실수가 있지만 거의 완성되었다는 평가도 받는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며, 이런 소프트웨어를 완성하기 위해 칩부터 설계하고 컴퓨팅 하드웨어도 직접 제작하는 회사. 전기차 사업과 밸류체인을 수직 통합한 데 이어 AI와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 위성 통신 사업까지 수평으로도 확장하는 테슬라. 주요 언론과 유튜브 등을 통해 친절한 테슬라 삼촌으로 알려진 박형근 연구원이 테슬라가 그리는 미래와 현재, 나아가 여러 혁신 기술의 상용화, 대중화 가능성 등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연재합니다. - 버핏클럽


자동차가 스스로 운전하고, 화성에서 인류가 거주하며, 로봇이 사람 대신 일하는 미래를 꿈꾸는 괴짜 사업가가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사기꾼!’이라는 시각은 머스크가 테슬라의 CEO가 된 2008년 이후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괴짜 CEO는 실험적인 첫 모델 ‘로드스터’를 내놓은 지 16년 만에 연간 180만 대를 판매하는 세계 최대의 순수 전기차회사로 테슬라를 이끌었습니다.

테슬라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도 적지 않지만, 이 회사가 전기차시장의 성장을 주도한 사실만큼은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테슬라가 등장하기 전에는 전기차가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 많았고 많은 자동차 제조사가 전기차 사업에 회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테슬라는 이러한 의문을 불식하며 전기차 판매량과 기업 가치에서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섰습니다. 전기차 대량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오랜 기간 20%가 넘는 높은 판매 마진을 실현했고, 현재도 경기 침체에 따른 공격적 가격 인하 전략에도 불구하고 10%가 넘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완성차업계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지요.

다른 완성차 업체들이 ‘Next 테슬라’가 되기를 희망하며 기술적으로 진보한 전기차 플랫폼을 출시하고 있지만, 테슬라와 비교할 때 여전히 많은 격차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토요타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를 생산하지만 전동화 차량의 비율과 순수 전기차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테슬라보다 미래 지향적 이미지가 약하다고 평가받습니다.

테슬라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충전 인프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미래, 즉 C.A.S.E.(Connected, Autonomous, Shared, Electrified) 시대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차량 설계 전략을 사용해서 차량의 소프트웨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나도 최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을 만듭니다. 이는 주행 거리와 가속 성능 향상, 능동형 서스펜션 같은 하드웨어 운용의 최적화로 이어집니다.

붕어빵 찍듯 '기가캐스팅'

테슬라는 흔히 자동차 하드웨어보다는 IT화된 이동 기기를 만드는 테크기업으로 각인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의 차량 내부를 살펴보면 기본기가 얼마나 탄탄한지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테슬라의 대중화를 열었다고 평가되는 모델 3와 Y 전기차 출시 이후, 많은 엔지니어가 차를 분해해 분석했습니다. 이 가운데서도 미국의 자동차 분해 분석 전문가 샌디 먼로는 그 전까지 테슬라에 큰 기대감이 없었지만 모델 Y를 분석한 후 완전한 테슬라 팬보이가 되었습니다. 완성차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춘 지 몇 년 되지 않은 기업이, 기존 기업들이 시도하지 않은 혁신 기술들을 빠르게 적용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테슬라는 전기차 제조 과정에 혁신 기술인 ‘기가캐스팅’을 도입해서 자동차업계의 기존 생산 방식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기가캐스팅은 마치 붕어빵을 찍듯이 대형 알루미늄 합금 판에 높은 압력을 가해서 일체화된 섀시를 생산하는 기술로서, 생산 공정을 혁신적으로 단순화하고 공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데 기여합니다. 테슬라의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언더바디를 단 세 개 부품(프론트 캐스팅, 리어 캐스팅, 배터리팩)으로 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모델 3의 리어 언더바디에 이미 적용되어 기존 금속 패널 70여 개를 대체했습니다. 기가캐스팅 도입으로 테슬라는 전통적인 금속판재 스탬핑과 점용접 조합에 의존하는 대량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생산 효율성과 조립 품질을 향상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