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최소한의 주식 공부 12] 산업 공부 ② 화장품
주식 투자자가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식을 담아 ‘최소한의 주식 공부’를 연재합니다. 주식이라는 자산의 근본적인 실체에서 시작해, 의사결정의 주요 원칙과 피해야 할 함정에 대해 홍진채 라쿤자산운용 대표가 독자 여러분과 함께 고민합니다. ― 버핏클럽 Getting your Trinity Audio [//trinityaudio.ai] player ready... -------------------------------------------------------------------------------- 화장품 주식이 뜨겁습니다. 투자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산업입니다. 흥미롭게도 투자자들의 시각은 크게 갈립니다. 좋아하는 쪽에서는 장기 트렌드의 초입이라고 합니다. 싫어하는 쪽에서는 단지 트렌드일 뿐인데 주가가 너무 과하게 상승했다고 합니다. 단기간 실적이 좋기는 하겠지만, 주가가 급등한 덕에 조금만 노이즈가 생겨도 주가가 급락할 수 있다고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피드백을 받아서 시안을 수정하는 과정은 지루하고 피곤하고 감정 소모가 심한 일입니다. 발주를 주는 쪽이든 생산하는 쪽이든 답답한 나날이 계속 이어집니다."
++
"만약 낮은 원가를 기반으로 값싼 제품을 팔아도 충분히 돈이 되는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면, 위와 같은 과정을 진행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 '망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끼는 회사들이 목숨 걸고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 뛰어드는 거죠."
++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는 이미 제조업에서 선두를 뺏긴 나라들입니다. 그런데 화장품 제조를 이렇게 많이 하고 있다고요? 화장품이 정말로 그렇게 고난도의 훌륭한 기술을 요구하는 제품인가요?
++
이와 같은 일련의 로직이 정말 재미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뷰티 산업, 그 중에서 화장품 산업은 선진국 회사들과 비슷한 양태로 살아 남게 될까요? 아니면 갑싼 제품을 팔아도 충분히 돈이 되는 비즈니스가 차고 넘쳐서, 그깟 화장품! 이러면서 버리고 가게 될까요?
++
저도 덩달아 흥미진진해집니다. ㅎㅎㅎ
++
일본이 반도체 산업이 기울게 된 이유가 굳이 메모리 반도체 같은 시덥잖은 걸, 한국 같은 시덥잖은 나라 기업과 목숨 걸고 경쟁해 가며 굳이굳이 해서 돈을 벌어야 겠냐? 였다는 얘기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화장품에 관심이 없는 저에게는 친절한 설명들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삭제됨
화장품이라는 산업에 대해서 이렇게까지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다는게 너무 재밌습니다.
정말 매달 기다리는 글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물론 아직 공부가 깊고 넓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이 글의 인사이트를 넘는 컨텐츠는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덕분에 앞으로 다른 제조업을 공부할 때도'선진국형 제조업인가'라는 관점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업공부가 너무나 흥미롭네요.
선호하는 지표로 매분기 종목선정하는 과정에서 K뷰티 관련주가 나오면 능력범위 밖이라 생각하고 매번 넘어갔었습니다. 저는 가성비 썬크림 정도만 바르는 뷰티에 무지한 남성이라 그럴 수 있지 라고 이유를 대며 넘어갔던 것 같습니다.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생물학적 요소부터 산업, 유통 특성 까지 살펴볼 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깊이 있는 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여러 번 읽어봐야겠네요 ㅎㅎㅎㅎㅎ.
예전에 어디선가 대표님이 포지셔닝 맵 설명하시면서 화장품 브랜드별 저가~고가 브랜드 등을 말해주신 적 있는 것 같은데 명확하게 떠오르지는 않네요 ㅎㅎㅎ. 대학생 때 동아리에서 하셨던 거라고 쓰신 것 같기도 하고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
능력범위를 꾸준히 넓혀나가려면 현실에서 깊이 있는 관심을 가지거나 자주 접하는 환경이 갖춰져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착각이었나 봅니다.
30대 아저씨가 무슨 화장품이나 엔터에 관심이 있겠나, 능력범위 밖이고 앞으로도 관심 없을거야 라고 스스로 한계를 정의했던 것 같기도 합니다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