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cover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백승우

맨마지막에 매우 의미심장한 말씀을 매우 완곡하게 하시네요...소위 말하는 오너리스크 때문에 쉽게 투자하기 어려운 기업이 참 많은 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 회사가 우연히 대박이 나서 돈을 아무리 잘 번다고 해도, 마치 세습되는 것처럼 보이는 오너리스크로 인해서 '정말 저 기업이 잘 될까? 끝내 잘 될까?' 하는 의구심을 계속 가지게 됩니다. 과연 그 끝은 어떻게 될 것인가? 짜잔~~. 너무나 궁금합니다.
++
"특정 음식이 잘 팔리는 것과, 그 음식을 파는 회사가 상장사로서 큰 이익을 창출하여 주주가치로까지 어어지는 것 사이에는 아주 많은 연결고리가 필요합니다. 결국 주주에게 돈을 벌어주는 회사와 그렇지 못한 회사가 크게 갈라질 것입니다."

D
Dog Cat

잘 읽었습니다

이도영

음식료 산업의 원리(?)에 대해 생각 해보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스트모스투

이번 산업공부도 매우 흥미롭고 유익했습니다.
음식료 산업을 이야기하면서 감각 단위로 생각을 해볼 줄 생각조차 못 해봤네요. 맛있다는 것에 대한 정의도 신선했습니다. 종목선정 과정에서 K푸드 관련주가 나왔을 때 ROE가 낮은 기업이 많았고 그중 높은 기업은 프리미엄을 이미 많이 받은 것 같아 관심을 두지 않았었는데 밸류체인, 케파, 물류, 규제 등 생각보다 사업 운영에 어려운 점이 많다는 것을 글을 통해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탄수화물이 특히 느슨한 항상성으로 수요를 꾸준히 확보할 수 있다는 관점도 흥미롭네요. 음식료 산업에 나중에 투자한다면 장기간의 주주가치 상승을 가져다줄 BM인지 꼭 고려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나저나 파란색 음식 검색해 봤더니 식욕이 뚝 떨어지네요ㅎㅎㅎㅎ.
다음글도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