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워런 버핏의 투자 방법은 일반 투자자가 따라할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홍진채 라쿤자산운용 대표는 《워런 버핏 바이블 완결판》(워런 버핏 원저, 이건 편역)의 해설에서 "분명 복제 가능한 영역이 있다"고 밝혔다. 이 책은 버핏과 멍거의 오리지널 말과 글에 한국 투자자의 눈높이에 맞춘 해설을 더해, 버핏의 원칙을 실전에 접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총 13개 주제로 구성된 이 책의 핵심인 '1장 주식 투자'에 대한 홍 대표의 해설 원고를 소개한다. ― 버핏클럽

Getting your Trinity Audio player ready...

버크셔 해서웨이는 주식회사다. 버크셔 해서웨이 연차보고서와 주주총회는 주주에게 하는 경영진의 ‘업무 보고’ 행위다. 이러한 ‘업무 보고’에서 우리 삶에 도움이 되는 철학이나 원칙을 찾아낸다는 건 어찌 보면 기이한 일이다. 거꾸로 생각해보면, 주식회사와 주주 간의 관계에서 오고 가는 대화이니 그 자체로 주식이란 무엇이며 훌륭한 경영진이 주주에게 지녀야 할 태도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교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크셔 해서웨이는 바로 그 교본을 60년간 만들어왔다.

워런 버핏은 보험업, 인수합병, 자본 배분 등 여러 분야에 천재적 통찰을 발휘했지만, 그 모든 것은 결국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수렴한다. 《워런 버핏 바이블 완결판》의 1장 ‘주식 투자’는 버크셔 해서웨이 연차보고서와 주주총회 질의 중 주식 투자와 직접 연관되는 내용만 추려낸 장이다. 사실상 이 장의 내용만 소화하더라도 주식 투자를 바라보는 기초 체력은 잡혔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앞으로의 투자 인생에서 무슨 일을 겪더라도 ‘기본기가 없는’ 다른 투자자보다 풍부한 경험치를 쌓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중요한 장이기에, 기대를 높이기보다는 기대를 낮추며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어차피 내가 뭐라고 하든 당신은 본문을 읽을 테니까!)

나는 흔히 워런 버핏을 소개하면서 ‘집에서 따라 하지 마세요’라는 부제를 단다. 버핏은 논란의 여지 없이 현시대 최고의 투자자다. 투자 행위를 통해 세계 최고의 갑부가 되었으며, 그가 경영한 버크셔 해서웨이는 미국 비기술 기업 최초로 1조 달러 시가총액을 돌파했다.

수많은 투자자가 버핏을 연구하며, 그의 투자 원칙을 따른다고 스스로 인식한다. (물론 나도 그중 하나다.) 그러나 그가 실제 구사한 투자 기법은 단순히 ‘스타일’을 넘어서, 근본적으로 다른 투자자가 따라 할 수 없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그가 경영하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자산운용사가 아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보험업 기반의 지주회사’다. 보험업에서는 ‘플로트’라고 부르는 유동성이 창출된다. 보험 고객은 보험료를 미리 납부하고, 나중에 보험금을 받아 간다. 그 사이에는 상당한 기간이 존재한다. 확률 계산을 소홀히 하지 않고 고객이 충분히 많다면, 보험사는 거의 확정적으로 대규모의 자금을 장기간 운용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높은 확률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냈다면, 이 구조는 운용자에게 이론적으로는 무제한의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물론 자본 규제 때문에 실제로 무제한이 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그가 일반적인 투자자가 사용할 수 없는 형태의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