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은 여러 여성 경영자들을 가르치고 지원했다. 그는 ‘경영학 강의’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비유나 일화를 들려주곤 했다. 그런 교수법은 ‘버피티즘(Buffettism)’이라고 불렸다. 버피티즘의 세례를 받은 여성 CEO들 가운데에는 캐서린 그레이엄이 가장 주목을 받았다.


워런 버핏은 시대에 앞서 양성평등을 지지했고, 오랫동안 여성 친화적인 행보를 이어왔다. 버핏은 여성들을 교육하고 여성들의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를 후원해왔다. 그 결과 남성으로는 유일하게 미국 매거진 〈포춘〉의 연례행사인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회의’에 초대받기도 했다.

버핏의 이런 성향을 고려할 때, 그가 여러 여성 CEO들이 역량을 갖추고 발휘하도록 가르치고 지원한 활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그가 지도한 여성 CEO 중에 가장 유명한 인물이 〈워싱턴 포스트〉 발행인이었던 캐서린 그레이엄(1917~2001)이다. 버핏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자회사인 보샤임 보석회사의 CEO로 수전 자크를 발탁했고, 다른 자회사의 여성 CEO인 도리스 크리스토퍼와 캐시 배런 탐라즈에게도 큰 영향을 줬다.

20년 주부였다가 미국 9위 경영자로

캐서린은 1963년 〈워싱턴 포스트〉의 경영을 넘겨받아 1991년까지 경영했다. 언론사는 그의 집안의 가업이었지만, 20여 년 동안 가정주부로 지내온 46세의 캐서린은 경영할 준비가 전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캐서린은 우울증을 앓던 남편 필립 그레이엄이 자살한 뒤 이 회사의 경영을 맡게 됐다. 더욱이 당시 미국 사회는 여성의 사회활동에 제도적·관습적인 장벽이 높고 두터웠다.

그러나 캐서린은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이 작은 매체를 유력한 전국지로 키웠고, 회사를 내실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주식회사로 변신시켰다. 발행인으로서 펜타곤 문서 및 워터게이트 보도를 뒷받침했다. 경영자로서는 가족기업이던 회사를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고 주주 이익에 부합하게 이끌었다.

캐서린은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500대 기업 CEO에 이름을 올렸다. 〈포춘〉이 선정한 ‘위대한 CEO들’ 리스트에서 9위에 올랐고, 1993년에 이 매체가 선정한 전미경영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워싱턴 포스트>의 경영을 넘겨받은 후 버핏과 멍거의 경영 지도를 받아 500대 기업 CEO에 이름을 올린 캐서린 그레이엄

교수 앞의 여학생처럼 멍거에게 배워

버핏의 지도가 없었다면 캐서린은 손꼽히는 경영자로 변신하지 못했을 것이다. 캐서린은 처음엔 멍거에게서 경영을 배웠고, 이후 버핏의 가르침을 받았다. 캐서린은 회고록에서 “나는 회사를 경영하고 있었고 자녀와 손자손녀 신탁재산까지 책임지고 있었는데 이렇다 할 경험이 없었다”면서 “워런에게 먼저 상의했다”라고 말했다.

그런데 버핏은 이렇게 대답했다. “이러면 어떨까요? 제 파트너 찰리를 만나보세요. 찰리와 저는 대부분 의견을 같이합니다.” 캐서린은 그래서 버핏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멍거의 사무실로 찾아갔다. 멍거는 재미있고 총명했다. 캐서린은 노란색 노트를 꺼내 멍거의 말을 받아 적기 시작했다. 캐서린은 위대한 교수 앞에 서 있는 여학생처럼 그렇게 했고 그래서 멍거에게 좋은 인상을 줬다. 그 광경을 본 버핏이 웃었다. 버핏은 그 모습을 화제 삼아 두고두고 캐서린을 놀렸다.

멍거와 캐서린은 오랫동안 활발하게 서신을 나눴다. 캐서린은 “정말로 묘한 경험이었다”고 술회했다. 경영에 미숙하고 내성적이었던 캐서린은 자신이 충분할 정도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생각에 늘 속을 태웠다. 하지만 멍거의 편지를 보면서 자신이 그렇지 않음을 깨닫게 됐다. 멍거는 캐서린이 생각보다 더 잘하고 있다고 계속 확인해줬다.

버핏은 캐서린의 피그말리온

버핏은 1974년 〈워싱턴 포스트〉의 이사가 되었다. 버핏은 이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캐서린에게 경영을 가르쳤다. 버핏이 캐서린을 경영학교에 등록시킨 것이나 다를 바 없었다. 캐서린은 “버핏에게 배울 수 있었던 것은 정말 행운이었다”고 말했다.

버핏은 캐서린에게 다른 사업에 대해 설명했고, 세계 기업들의 주요 사례를 들었고, 경영을 잘하고 못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지적했다. 아울러 자신의 경영 철학을 전해주면서 구체적인 사항을 가르쳤다.

캐서린은 개발되지 않았던 자신의 자질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버핏을 피그말리온 같은 존재로 여겼다. 피그말리온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조각가로, 그가 조각한 아름다운 여성은 실제 여인이 된다.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에서는 한 음성학자가 거친 말투에 예의 없는 여성을 완벽한 억양을 가진 세련된 여인으로 변모시킨다.

버핏은 자신이 알고 있는 비유나 일화를 들려주는 교수법을 활용했다. 이 방식은 캐서린을 편하게 해줬다. 캐서린은 그런 비유나 일화, 교수법을 ‘버피티즘’이라고 불렀다. 캐서린은 버피티즘의 사례로 다음 몇 가지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