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 난무하는 소음 속에서 중심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럴수록 기본에 집중하고 올바른 원칙을 지켜야 하지만 우리가 마주하는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투자 단상’은 현직 펀드매니저가 시의적절한 고민을 함께 나누는 코너입니다. 투자 대가들이 역경을 이겨낸 방법을 소개하고 실패 사례에서 배우는 기회도 마련하겠습니다.  ― 버핏클럽

Getting your Trinity Audio player ready...

“소로스는 내게 선택의 옳고 그름이 아니라, 옳은 선택을 한다면 얼마나 많이 벌고 그른 선택을 한다면 얼마나 적게 잃을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주었다.”

조지 소로스의 퀀텀 펀드에서 함께 일한 스탠리 드러켄밀러가 입버릇처럼 말하는 유명한 문구입니다. 드러켄밀러는 30년간 연평균 수익률 30.4%를 올렸고 손실이 난 해가 한 해도 없는 만큼 투자의 구루라 불릴 만합니다. 그의 말은 투자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드러켄밀러는 쿠팡에 오랫동안 투자했고 작년에는 엔비디아에 대한 높은 수익으로 재조명받았습니다. 특히 쿠팡은 주가가 급락한 상황에서 소위 ‘물타기’를 했고 결국 이익을 실현해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드러켄밀러는 미디어 노출도 즐기며 자신의 관점을 스스럼없이 언급하는 터라 투자자들은 그의 생각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드러켄밀러의 인터뷰를 보아온 투자자라면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투자 견해가 쉽게 바뀌기 때문입니다. 특히 거시경제와 관련된 견해가 그렇습니다. 물론 거시적 지표들은 여러 변수가 작용하는 성격상 잦은 견해 변화가 불가피한 면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러켄밀러는 시시각각 견해를 바꾸는 데 전혀 거부감이 없어 보입니다.

반면에 찰리 멍거는 한번 언급한 견해를 쉽게 바꾸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드러켄밀러와 크게 대비되는 모습이죠. 매번 같은 얘기를 하는 느낌이지만 이상하리만큼 투자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줍니다.

두 투자 대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먼저 차이를 짚기 전에 ‘정답은 없다’는 결론을 전제하고자 합니다. 드러켄밀러가 맞느냐 멍거가 맞느냐를 논하는 것은 실제 투자 환경에서 큰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각자 자신의 성향에 최적화된 투자철학을 고수하고 장기간 높은 성과를 내왔기 때문이죠.

드러켄밀러와는 다르게 ‘맞는 것’, 그러니까 현실에서 ‘통하는 것’을 부단히 찾는 행위가 가장 중요하다는 점이 멍거리즘의 가장 큰 주제입니다.

자신의 판단이 틀릴 경우를 ‘안전마진’으로 대비하면서 멍거는 어떻게 해야 투자에서 ‘맞는 것’을 찾을 수 있는지 더욱 깊이 들어갑니다. 때문에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에 천착하고, 복잡계를 다루는 자신만의 툴인 ‘다학제적 관점’을 취하는 것이죠.

최근 국내에도 번역 소개된 《가난한 찰리의 연감》을 보면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관련한 멍거의 견해가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멍거는 가능한 한 다양한 학문적 기반에 근거한 ‘모형’을 갖추고, 이를 쉽게 꺼내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멍거리즘의 이런 부분을 처음 접하면 다소 뜬구름을 잡는다는 느낌을 받기 쉽습니다. ‘다학제적’, ‘복수 모형’ 등등의 수사 자체에서 현실과 거리감이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쉽게 말하면,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너무나 다양하니 한두 개 유형의 지식만으로 투자에 나서면 안 된다는 말입니다. 생각지 못한 리스크의 발현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입니다.

투자 대상을 바라볼 때 복합적인 관점을 적용해야 한다는 말을 멍거는 반복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충분히 고민해야 멍거의 전가의 보도인 ‘오판의 심리학’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엉덩이 걷어차기 대회에 나간 외다리 선수와 같은 처지가 된다는 멍거의 비유는 이런 부분을 잘 대변해줍니다.

실제 주변 투자자와 저 자신을 돌아보더라도 투자에 실패하는 경우는 보통 그 기업이나 투자안의 한두 가지 요소에만 ‘꽂혀서’ 많은 비중을 투입할 때였습니다.

“아무리 그래도 이렇게 낮은 가격이라면…”

“많이 올랐지만 이렇게 훌륭한 CEO라면…”

“회사가 소액주주들 뒤통수는 많이 치지만 이렇게 강력한 비즈니스 모델이라면…”

“제품 경쟁력은 모르겠지만 이렇게 좋은 업황이라면…”

투자자들이 한두 요소에만 꽂혀 거액을 밀어 넣으면서 흔히 하는 말들입니다. 하지만 멍거는 나머지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다양한 리스크에 직면하게 된다고 말합니다.